2015. 8. 27. 11:49ㆍ▦ 한국의 문화재/지역문화재
2015.8.15
다시찾은 마애불
이번 출사는 향로봉 에서 멋진 일출을 담는 목적도 있었지만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영암사지 삼층석탑을 담는 일이었습니다.
꿈에도 그리던 월출산 마애불을 보고 가슴 벅찼던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지난번 출사때 마애불과 서 삼층석탑은 보고왔지만
영암사지 삼층석탑이 마애불과 0.2 키로 정도 떨어진곳에 있어
가보지 못한 게 늘 마음 한구석에 남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큰맘먹고 나섰습니다.
마애불보러 가는길에 저 멀리 나무 사이로 보이는 서 삼충석탑
자료의 완성도를 높이기위해
지난번에 담은 사진과 자료를 첨가 했습니다.
구정봉 삼거리에서 마애불까지 0.5키로 한참을 걸어
너무나 보고 싶었던 부처님을 대하는순간 웅장함에
위압감 마저 듭니다.
국보 144호로 지정된 월출산 마애여래좌상은
전체 높이는 8.6미터 이며 불상의 높이는 7미터 인 고려시대 대표적인 마애불이라고 합니다.
하늘과 맞닿을 듯 높이 솟은 바위에 앉아 금새라도 스르르 내려와
사람들의 상처난 심성을 어루만져 줄 듯 미소짓는 마애불을 보며
마음속으로 부처님뵙고 싶어 이렇게 먼길 왔노라 엎드려 절을 올립니다
너무 높아 가까이 다가가지 못함에
손으로 어루만지듯 눈으로 하나 하나 더듬듯이 담아봅니다.
굳게 다문 입술의 근엄한 표정
늠름한 어깨
부드럽게 흘러내린 음각으로 표현된 옷자락
광배엔 연꽃잎과 당초문이 새겨져 있으며 둘레엔 불꽃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월출산 마애불 국보144호
결가부좌 한 다리
왼손은 배꼽아래 오른손은 무릎을 감싼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습니다
통통하고 부드럽게 표현한 라인을 보니
섬세한 석공의 숨결이 살아 숨쉬는 듯 합니다.
오랜 세월 비바람과 세월의 흔적들이 쌓여 검게 그을은 마애불을 최근에 깨끗이
보수 해 놓아서 더욱 멋진 꽃미남 마애불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아래 두사진은 서 삼층석탑이 있는 곳에서 지난번에 담은 사진입니다.
월출산 마애불을 한눈에 볼수있게 모아 봤습니다.
월출산 마애여래좌상에서
서쪽으로 약 150m 거리에 또 다른 삼층석탑이 있으나,
1층 탑신과 3층까지의 옥개석만 남아 있어 복원이 어렵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 삼층석탑은 마애여래좌상과 같은 시기인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천년세월동안 월출산 깊은 곳에 숨어 이렇게 서로 마주보고 그리워 하고 있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하지만 지금 이곳에 있는 삼층석탑은 마애불과 천년간 마주보고 선 묘한 마력이 있으며
자연 암반에 올려진 두리뭉실한 모습이
보물로 지정해도 이상할 것이 없을 정도로 잘 생겼습니다.
좌측 사진이
용암사지 삼층석탑이며 보물 제1283호이다.
이 삼층석탑은 마애불에서 100m를 더 내려가면 나오는 용암사지에 있다. 네이버백과에서 나오는 용암사지 삼층석탑의
사진이 2개나 나오는데 문화재청과 한국민족대백과에서는 맞게 표현하였으나 두산백과에서는 우측 사진을 놓고
용암사지 삼층석탑이라고 쓰여있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하루라도 빨리 시정을 해야 할 듯...
용암사지는 해발 804m의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 있는 절터로
약 300평 부지에 수 많은 기와편과 주초가 남아있다.
그밖에 용암사지 중심에서 약 50m 떨어진 입구에 석종 2기와 북서쪽에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이 그림을 담기위해 혼자 얼마나 달렸는지 ....
막상 그곳에 도착해보니 여름이라 잡초만 무성했다.
군데군데 옛님의 흔적들이 풀 숲 속에서 빼꼼이 고개를 들어 반겨주는것 같기도했다....
용암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1283호이다
1996년 붕괴된 석탑을 조립할 때 하대석 중앙 부분에서 백자 사리호 1점, 금동보살좌상 1점, 청자 대접 1점, 사리 32과,
철편 11점 등이 발견되었으며 1995년 지표조사 때 ‘용암사’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출토되어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용암사임이 확인되었지만 구체적인 기록은 없다고 한다. (자료출처 : 문화재청)
힘은 들었지만 늘 가슴 한구석에 궁금증으로 남아 있던 보고싶던
엣님의 흔적을 볼 수 있어서 다행이었습니다.
위에서 사람들이 기다린다 싶어 너무 달렸던지 하산길에 다리에 쥐가나서 혼 났습니다....ㅎㅎ
다녀올 동안 기다려준 님들 감사했습니다.
'▦ 한국의 문화재 > 지역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안 보흥사 오층석탑 (0) | 2015.08.04 |
---|---|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0) | 2015.06.05 |
반야용선 (0) | 2015.02.22 |
통도사 영산전 (0) | 2015.02.16 |
법수사지 삼층석탑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