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석탑중에서 가장 예술적 가치가 높은 석탑은 어떤 석탑인지 알려주세요 돌을 재료로 하여 만든 탑인 '石造塔婆(Stupa)'의 줄인 말로서, 재료로는 화강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안산암이나 점판암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구조는 크게 基壇部, 塔身部, 上輪部 등 세 부분으로 ..
@안동의 문화재 일람표 연번 지정별 문화재명 연번 지정별 문화재명 1001 국보 15호 봉정사 극락전 2038 보물 1221호 청계 김진 영정 1002 국보 16호 신세동 7층전탑 3039 사적 170호 도산서원 1003 국보 121호 하회탈 및 병산탈 3040 사적 260호 병산서원 1004 국보 132호 징비록 4041 천연기념물 174호 송사..
경주 감은사터 석탑 사리갖춤(感恩寺址石塔 舍利莊嚴具) 등록일2012-04-09 조회수4835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탑 우리나라 산 곳곳에는 크고 작은 절들이 고즈넉이 자리 잡고 있기에 산을 찾는 사람들은 자연스레 절을 둘러보게 됩니다. 부처님을 모신 금당(金堂)에는 관광객들이 북적북적하..
청동연지형병향로(靑銅蓮枝形柄香爐) 등록일2013-07-30 조회수2796 병향로(柄香爐)는 긴 손잡이와 노신으로 구성된 불교향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에 전래되었으며, 중국에 전래된 최초의 병향로는 중국의 감숙성(甘肅省) 병령사석굴(炳靈寺石窟) 169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 전래된..
(皇福寺址金製佛立像·金製阿彌陀佛坐像) 등록일2013-07-30 조회수2798 사리함 속에서 나온 부처 1942년 황복사 터(皇福寺址)로 전해오는 경주시 구황동(九黃洞) 절터의 삼층석탑을 해체ㆍ복원할 때 2층 지붕돌 상부의 사리공에서 두 점의 불상이 발견되었습니다. 금제 불입상, 경북 경주시 ..
불교중앙박물관은 2013년 11월 13일부터 인각사의 주요 발굴유물과 일연스님의 ‘삼국유사’ 관련 문화재를 함께 전시ㅣ하는 기획특별전 ‘인각사와 삼국유사-역사의 향기를 따라 천년의 숨결을 만나다’를 내년 1월12일까지 전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2008년 발굴..
4.격조와 위엄의 미학, 궁중행사도(기록화) 조선시대의 왕실문화는 근래 많은 연구 성과가 쌓이면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왕세자 책봉,왕실 혼례,왕실 어른의 생신,왕의즉위 기념식 등 궁중의 행사를 기념하여 그린 "궁중행사도" 는 조선왕실문화의 격조와 위엄을 그림으로 보여준다. 김..
3.겸재 정선과 금강산 그림 정선은 금강산과 인왕산,서울의 근교, 강원도에서 해인사까지 전국의 명승과 풍경을 여행하고 개성적인 필법(筆法)과 묵법(墨法)의 진경산수(眞景山水)로 완성하였다. 한국의 고유한 지리적 풍토에서 나온 산세의 느낌 ,억센 바위,꾿꾿 한 소나무는 정..
2. 화선(畵仙) 김홍도 단원 김홍도는 "그림 신선" 으로 불린다. 외모와 행동거지가 맑고 아름다웠다고 한다. 풍속화로 가장 친숙하지만 신선,실경산수,고사인물(故事人物) 궁중행사도,호랑이나 고양이 등 영모,연꽃과 파도 등 다양한 분야의 그림을 다 잘그린 정조시대 최고의 화원이었다...
국보와 보물로 보는 한국미술 이천년 조선시대 회화. 이인숙(-영남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석사 졸업.동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강사 강의내용 - 1주차 : (이인숙/미술사, 한국학) / 신윤복과 조선의 풍속 - 2주차: (이인숙/미술사, 한국학) / 화선 김..
불국사 건립과 그 배경 불국사 @불국사는 법화사상과 정토신앙 등 복합적 종교세계가 결합하여 하나의 종교적 완성체를 이룬 절 . @동시에 토함산의 경사진 지형을 뛰어난 조형기법으로 살린 8세기 조형예술의 결정체. @뒤로는 김대성이 전생의 어머니를 위해 지었다는 석굴암이 있음. 불..
전탑(塼塔) (1)흙을 구워 만든 벽돌로 조성한 탑의 양식 중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안동을 비롯한 일부지역에 분포,지금까지 알려진 1,500기의 석탑 가운데 전탑은 21개소의 탑.및 탑지 또는 관련 문헌기록만이 존재. (2)전탑에 관한 최초의 문헌~삼국유사 권4 양지 사석조 석양지는 신라 선덕..
석탑(石塔)탑의 양식변화-삼국 .통일신라 시대 탑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탑에 봉안하여 경배의 대상으로 삼음. @점차불교가 예배 중심이 되면서 탑보다 불상 중시 → 가람의 중심이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옮겨감. 삼국의탑 @ 초기불교는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호국불교로서 사찰도 호..
탑의 구조는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탑의 층수는 탑신부만을 가지고 세는 것이다. <탑의 구조> 상륜부 맨 꼭대기 지붕돌 위의 금속이나 돌로 만든 장식으로 찰주(擦柱)·보주(寶珠)·용차(龍車)· 수연(水煙)·보개(寶蓋)·보륜(寶輪)·앙화(仰花)·복발..
한국의 도자기(2) ◆ 백자 ■ 백토(철분함유량은 0.01~0.02 %) ■ 청화 (회회청,코발트,토청) 안료 (1392~1480 ) :백자의준비기간,투박한 백자 (1480~1592 ) :명대풍이 유행,분음의 성립으로 백자가 크게 발전 (1592~1700 ) :전란으로 도자문화가 일시 후퇴, 철화백자가 많이 제작.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 ..
한국의 도자기(2) 소박한 묘미의 분청사기와 달 항아리 강의목표 분청사기와 조선 백자의 다양한 문향과 기법 등의 특수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도자사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자 한다. ■ 기형에 힘이 넘치고 두툼한 질감의 특징. 소박하면서도 비정제의 묘미 민요(民窯)만이 지닐..
한국의 도자기 고려청자, "고려비색 천하제일" 강의목표 선사시대 빗살무늬토기부터 고려청자가 만들어지기 까지 그릇의 제작방법을 알아보고, 그 과정 속에서 고려 도자기에 보이는 비색의 아름다움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도자기의종류 ■ 토기 (土器) : 600~700 도에서 구워진 선사시대 ..
한국의 불교미술(2) 화려한 고려불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불교를 국시로 삼은 고려시대(918~1392)에 제작된불화 * 크기:대략 1~2m의크기 로 개인원당에 설치 (예배용) *특징: 주(朱) 녹청(綠靑).군청(群靑) 금니의 적절한 사용(윤곽선 옷주름 문양등) *현존 수: 총 130여 점 (화기(畵記)가..
한국의 불교미술(1) 세계의 문화유산 석굴암 석불 담당교수:영남대학교 배영진교수 강의목표 불교미술의 전성기라고 할 수있는 통일신라시대 한국 불상의 변천과정과 흐름을 펼쳐봄으로써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알려진 석굴암 석불의 우수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불상의 성립과발생 *Gau..
운문사 대웅보전 * 불상의 종류 - 석가모니불: 불교를 창시한 사바세계의 교주. 석가모니란 석가족 출신의 성자(聖者)란 뜻. 석가여래를 모시는 전각을 대웅전(大雄殿).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한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비로자나불: 이름과 모양을 초월한 진리 그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