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8.15 다시찾은 마애불 이번 출사는 향로봉 에서 멋진 일출을 담는 목적도 있었지만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영암사지 삼층석탑을 담는 일이었습니다. 꿈에도 그리던 월출산 마애불을 보고 가슴 벅찼던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지난번 출사때 마애불과 서 삼층석탑..
2015.8.2 진안 보흥사 오층석탑 보흥사 [寶興寺]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는 사찰. 종파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신라 소재지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2-1, 보흥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신라 때 창건되어 광덕사(廣德寺)라 하였으나 그 뒤의 자세..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용암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으로 보물 제1338호로 2002년 3월 12일에 지정된 석탑이다. 동탑 높이 4.3m, 서탑 높이 4.1m. 동탑과 서탑은 자연암반 위에 동서로 나란히 자리하는데, 모습이 대체로 같다. 다만 동탑은 원래의 모습 그대로이지만..
조선(1801년), 경남 유형문화재 제194호 극락전의 초창은 고려 공민왕(恭愍王) 18년(1369) 성곡대사(성곡대사)에 의하였고, 현재의 극락전은 건물 해제 수리시에 발견된 상량문에 의해 순조1년(1801)에 중건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법당에는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極樂世界)의 교주이신 아..
양산 통도사 영산전 천정의 조각과 단청 보물로 지정된 벽화 아름다운 옛님의숨결들....
공식명칭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 주소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215-1 종목 보물 1656 전화번호 - 지정일 2010.07.05 휴무일 - 한자명칭 星州 法水寺址 三層石塔 이용요금 - 테마 유적건조물, 종교신앙, 불교, 탑 주차여부 - 시대 통일신라시대 찾아가는 상세설명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은 ..
2014.7.6 전북 진안 마이산 탑사 ^^*
2014.6.29 진안 마이산 탑사 야경
문수사 구례군 토지면 문수사길 138
안동 안기동 3층석탑 안동 안기동 삼층석탑 문화재자료 제18호 안기동 민가 안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아래층 기단은 없어져 시멘트로 만들어 놓았고, 위층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탑신..
안동 옥동 3층석탑 보물 제114호 보물 제114호 안동옥동삼층석탑(安東玉洞三層石塔) 종목 보물 제114호 소재지 경북 안동시 평화동 71-108 지정일 1963.01.21 수량/면적 1기 시대 통일신라 소유자 국유 관리자 안동시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상북도 안동시 평화동에 있..
안동 운흥동 당간지주 한자: 安東 雲興洞 幢竿支柱 영어공식명칭: Flagpole Supports in Unheung-dong, Andong 영어음역: Andong Unheungdong Dangganjiju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 231 시대: 고대/남북국시대/통일신라 집필자: 정진영 [정의] 경..
안동 동부동 오층전탑 보물 제56호 한자: 安東 東部洞 五層塼塔 영어공식명칭: Five Storied Brick Pagoda in Dongbu-dong Andong 영어음역: Andong Dongbudong Ocheungjeontap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 231 시대: 고대/남북국시대/통일신라 집필자: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제12호)통일신라 9세기 말~10세기 초 이 석등은 전해 내려오는 우리나라 석등 가운데 가장 크다. 간주석은 통일신라 석등의 팔각기둥과는 달리 북처럼 배가 부른 형태이다. 화엄사에는 많은 보물들이있다.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제12호), 화엄사 사사자 ..
화엄사 서 오층석탑 종 목: 보물 제133호 명 칭: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求禮 華嚴寺 西 五層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3.01.21 소 재 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시 대 :통일신라 화엄사 대웅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쌍탑 가..
화엄사 동 오층석탑 종 목 보물 제132호 명 칭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求禮 華嚴寺 東 五層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3.01.21 소 재 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시 대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화엄사 관리자(관리단체) 화엄사..
통도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로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와 함께 불보(佛寶)로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이다. 646년(선덕왕 15)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의 사리(舍利)·가사(袈裟)·대장경 등을 금강계단에 봉안하고 창건한 절이다. 이와 같이 불사..
쌍봉사 철감선사 부도 쌍봉사 철감선사탑 국보 57 - 쌍봉사 철감선사 부도- 주소: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화순 쌍봉사(雙峰寺)에는 우리나라 부도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철감선사 부도가 있습니다. 철감선사(澈鑒禪師)는 통일신라시대의 스님입니다. 경문왕 대에 이곳 화순지..
국보 제101호 -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 종 목 ; 국보 제101호 명 칭 ;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玄妙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 1962.12.20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구)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
국보제302호 청곡사영산회괘불탱(靑谷寺靈山會掛佛幀)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인 영산회상도를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길이 10.4m, 폭 6.4m 크기의 이 괘불은 본존불인 석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