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13. 11:07ㆍ▦ 한국의 문화재/문화재 답사 자료
운문사 대웅보전
* 불상의 종류
- 석가모니불: 불교를 창시한 사바세계의 교주. 석가모니란 석가족 출신의 성자(聖者)란 뜻.
석가여래를 모시는 전각을 대웅전(大雄殿).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한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비로자나불: 이름과 모양을 초월한 진리 그 자체를 형상화한 부처님. 대일여래라 한다.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을 대적광전(大寂光殿).대광명전(大光明殿).비로전(毘
盧殿).화엄전(華嚴殿)이라 한다. 수인은 지권인(智拳印).
- 아미타불: 영원한 수명과 영원한 광명을 가진 서방 극락세계를 관장하시는 부처.
옛날 '법장비구' 시절 48대원을 세워 수행하여 극락세계를 건설하신 보신불.
* 정토삼부경-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여기에 아미타불의 사상이 나옴.
'나무아미타불'을 외면 왕생극락한다고 한다. 아미타불을 모신 전각을 '무량수전
(無量壽殿).극락전(極樂殿).미타전(彌陀殿).수광전(壽光殿)'이라 한다.
수인은 설법인(說法印), 미타정인(彌陀淨印), 구품인(九品印) 등을 취한다.
-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는 동방유리광세계(東方瑠璃光世界)를 관장하며, 동방유리광여래.대의왕불
(大醫王佛)이라고도 한다. 약사여래는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재화를
소멸하고 의복, 음식 등을 만족케 하는 등 12 큰 소원을 세워 중생의 질병이나 고난을
구제하려는 부처이다. 한 손에는 약항아리(약단지)를 들고 있다.
여래를 모시는 전각을 약사전(藥師殿).약광전(藥光殿)이라 한다.
수인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이다.
- 미륵불: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고, 도솔천에 머물고 계신다. 석멸후 56억 7천 만년
되는 때에 다시 사바세계에 출현하여 화림원(華林園)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성불하고,
3회의 설법으로 모든 중생을 교화한다고 한다. 이 법회를 '용화삼회'라고 하는데, 용화수
아래에서 성불하기 이전까지는 '미륵보살'이라 하고 성불한 이후는 '미륵불'이라 한다.
수인은 시무외인(施無畏印)과 여원인(如願印).
@ 대적광전: 절의 법당 중에서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본당
동화사:(충북 청원군 남이면).
해인사:(합천).
기림사:(보물 833호, 조선시대 불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기림사).
귀신사:(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
수타사:(강원도 홍천)
외....
@ 극락보전: 서방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
무위사: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무위사
문수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3호 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외
.....
대웅전(대웅보전):대웅’이란 인도의 옛말 마하비라를 한역(漢譯)한 것으로 위대한 영웅, 곧 부처님을 의미하는 말이다. 부처님에게는, 일반인은 가질 수 없는 큰 힘이 있어서 마군(魔軍)의 온갖 장애를 극복하고부처님이 되었다는 뜻에서 붙혀진 이름인데, 특히 석가모니부처님을 일컬어 ‘대웅’이라 한다.
따라서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셔놓는 곳으로, 대부분의 경우 사찰의 중심에 위치한 가장 큰 법당을 대웅전으로 조성하고 있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부처님과 그분의 협시보살인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모신다
동화사 대구 팔공산
환성사 :경산
선운사:고창
운문사.청도
충청남도 예산군의 수덕사대웅전(국보 제49호),
경상북도 안동시의 봉정사대웅전(보물 제55호),
경상남도 양산시의 통도사 대웅전(보물 제144호),
전라남도 구례군의 화엄사대웅전(보물 제299호),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대웅전(보물 제500호),
충청북도 청원군의 안심사대웅전(보물 제664호)
충청남도 서산시의 개심사 대웅전(보물 제143호),
무량수전:무량수불인 아미타여래를 모신 법당
영주: 부석사
해남 :서동사
'▦ 한국의 문화재 > 문화재 답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불교미술(2) (0) | 2013.02.14 |
---|---|
한국의 불교미술 (1) (0) | 2013.02.13 |
전법륜 轉法輪 (0) | 2013.02.06 |
부처님의 손 모양-수인 (0) | 2013.02.06 |
불상의 각부 명칭 (0) | 201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