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14. 12:03ㆍ▦ 한국의 문화재/문화재 답사 자료
한국의 불교미술(2)
화려한 고려불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불교를 국시로 삼은 고려시대(918~1392)에 제작된불화
* 크기:대략 1~2m의크기 로 개인원당에 설치 (예배용)
*특징: 주(朱) 녹청(綠靑).군청(群靑)
금니의 적절한 사용(윤곽선 옷주름 문양등)
*현존 수: 총 130여 점 (화기(畵記)가 있는것은 30여 점)
아미타여래계 52점 수월관음 33점 지장보살 20점.
◆ 아미타여래계 불화
*무량광(無量光)과 무량수(無量壽)라는 두가지의 성격
*중생을 구제하는 시간적 .공간적 무한함을 의미
*인간이 죽은 다음 태어날 행복한 세계인 서방극락정토를 주재하는 부처
*<무량수경 (無量壽經)> <관무량경(觀無量經)><아미타경(阿彌陀經)>
<관경서분변상도>

〈관경변상도〉란 정토삼부경 중의 하나인〈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을 그림으로 설명해 놓은 것입니다.
〈관무량수경〉을 설법하게 된 것은 인도 마가다 왕국에서의 비극적인 사건 때문입니다.
이 나라에는 왕위를 이을 후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기도를 드려 아이를 갖게 되었는데,한 스님이 이를 보시고 이 아이는 훗날 아버지를
죽이게 될 것이니 죽여 없애라고 예언을 하게 됩니다.
어렵게 얻은 아이를 죽일 수는 없어서 내다 버렸는데,
이를 불쌍히 여긴 궁녀들이 그 아이를거두어 길러 장성하게 되었습니다.
부모가 자신을 버렸다는 것을 알게 된아이는 부모를 죽이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세상에 아버지를 죽이는 아들은 있어도 자기를 낳아준 어머니를 죽이는 아들은 없다고 설득하자
어머니는 살려두고 아버지는옥에 가두어 굶겨 죽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일을 당한 어머니 위대히 왕비가이 처참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부처님께 구하니 부처님께서 나타나 마음의평안을 얻을 수 있도록 기도하는 방법을 설법하셨습니다.
이러한 마가다 왕국의 비극적인 내용을 그린 것이 서분 변상도입니다.
또한 부처님이 설법하신 내용,즉〈관무량수경〉의 내용을 요약하 그린 것이〈관경변상도〉입니다.
이 서분변상도는 마가다 왕국의 비극적인 사건을이야기가 전개되는 순서에 따라위에서부터 6개의 그림으로 나누어 표현하였습니다.
그리고 관경변상도에는 부처님이 설법하시는모습과 함께 바깥쪽의 둥근 원들에는 설법하신 내용,즉 마음을 평안히 할 수 있는 방법을
상징적으로 그린 것입니다.
<십육관변상도>
<아미타팔대보살도>
아미타팔대보살도<고려후기 비단에 색 1554x872mm 일본 고후쿠고코쿠겐지(廣福護國禪寺)소장
<아미타삼존도>
비단에 순금으로만 그린 고려 불화가 처음 발견됐다.
일본 혼슈 중남부 야마나시(山梨)현의 개인 사찰에서다.
고려 불화 연구자인 정우택 동국대 교수는 1일 "조선 전기 불화를 조사하러 갔다가 '아미타삼존도'의 존재와 불화 하단에 고려 공민왕 때인 1359년 제작됐다는 숨은 글씨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일본 야마나시현 개인 사찰에 소장된 고려 불화‘아미타삼존도’. 아미타여래불(가운데)과 관음(왼쪽)·세지보살을 그렸다. /정우택 동국대 교수 제공
<아미타내영도>
종목:국보 218호
시대:고려시대
소장:삼성미술관(리움 미술관)
◆수월관음도
*현세구복적인 특성 때문에 대중들에게 크게 유행
*관음은 중생을 구제할 때 여러 방편(33변화관음)으로 나타남
*선지식을 찾아다니는 선제동자가 보타락산의 관음을 뵙고 설법을 듣는내용
*의상대사와 낙산사의 창건설화
수월관음도는 현존하는 고려불화 가운데 가장 훌륭한 작품으로
가장 큰 규모의 수월관음도라고 합니다
<일본경산사 소장>
<일본대덕사 소장>
<일본 천옥박고관 소장>
◆지장보살도
*저승세계를 담당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승려)
*지장보살과 지장시왕

지장탱화
<일본근진미술관소장>
<국립중앙미술관소장>
<독일 베를린 동양미술관 소장>
◆조선시대괘불
*불교의식에 사용된 불화
*10m이상인 크기
*매달아 놓은 부처
<해남미황사 이운의식>
전남 해남 미황사 괘불재
'▦ 한국의 문화재 > 문화재 답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도자기(2) (0) | 2013.03.06 |
---|---|
한국의 도자기(1) (0) | 2013.02.20 |
한국의 불교미술 (1) (0) | 2013.02.13 |
불상의 종류 (0) | 2013.02.13 |
전법륜 轉法輪 (0) | 201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