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바의 휴식처

아카바의 휴식처

  • 분류 전체보기 (4395)
    • 아카바 홈페이지 가기 (1)
    • 유나방송 (2)
    • 아카바란? (1)
    • 한글 맞춤법 검사기 (2)
    • 기상청 일기예보 (1)
    • ♤ 마라톤일지 (34)
    • ★산행기록 (1)
    • ▦ 문예창작 (1)
      • 습작 (1)
    • ▦ 마음의 쉼터 (1381)
      • 아침편지 (851)
      • 사진일기 (311)
      • 풍경이 있는 詩 (203)
      • 영혼의 치유음악.... (16)
    • ▦ 한국의 문화재 (175)
      • 문화재 답사 자료 (29)
      • 경주문화재 (69)
      • 지역문화재 (71)
      • 삼국유사방출사및정모 (6)
    • ▦ 사진 이야기 (1007)
      • 수성못의사계 (34)
      • 누드 (7)
      • 아카바앨범 (119)
      • 포토 (786)
      • 모델 (19)
      • 촬영대회사진 (20)
      • 예쁜손녀 성장 모습 (22)
    • ▦ 산 그곳에는 (960)
      • 산행.여행후기 (222)
      • 산행사진 (514)
      • 백두대간 (186)
      • 지리산 태극종주 (15)
      • 산 넘고 물 건너 (23)
    • ▦ 일지 (0)
    • ♡。아름다운 인연━•♡ (158)
      • ♣ 벨라모임 (13)
      • ♣ 나리부부.... (3)
      • ♣ 산*친 의 추억 (26)
      • ♣ 옹달샘 의 추억 (71)
      • ♣ 코 흘리게 친구들 (24)
      • ♣ 용기네 친구들 (21)
    • ♡마음으로 듣는 음악♡ (0)
    • ♡。정보 코너 ━━•♡ (632)
      • ▦요리.조리 ..맛의 황금 비율. (156)
      • ※생활정보 (51)
      • ※컴·유익정보 (39)
      • ♣포토샾자료 (21)
      • ⊙ 태그자료 (116)
      • ★산행자료 (65)
      • 내 가슴에 와 닿는글 들.... (147)
      • 茶禪一味(다선일미) (37)
    • ♡。자료 (0)
      • 1 (0)
      • 12 (0)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아카바의 휴식처

컨텐츠 검색

태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 한국의 문화재(175)

  • 남이포& 선바위

    남이포&선바위 남이포는 석벽과 절벽을 끼고 흐르는 반변천 본류와 동천의 두 물줄기가 합류하는 지점이다. 세조 때 남이장군이 역모자 아룡과 자룡 형제 등 모반세력을 평정하고, 역모세력이 다시일어날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큰 칼로 산맥을 잘라 물길을 돌린 마지막 흔적이 선바위 라는..

    2013.07.30
  • 서석지

    2013.7.21 영양 서석지

    2013.07.30
  • 월출산 마애불

    월출산 마애불

    2013.07.23
  • 마애불

    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 서산 마애삼존불상 국보 84호로 지정된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산중 동쪽바위에 새겨진 삼존불상이다. 월출산마애불 선도산마애불 백률사 마애불 신선암 마애불

    2013.07.06
  • 통도사

    2013.3.10 통도사

    2013.04.30
  • 경주 번개출사

    2012.10.20 경주 번개출사가 있던날에 무열왕릉에서.... 몰카도 있고.... 허락맏고 찍은것도 있고.... 제가 보기에 자연스러운 모습이 이뻐서 올렸습니다. 김정화님은 처음이라 많이 쑥스러워 하더군요. 다음에 만나면 더욱 자연스럽게 잘 찍어드릴께요~

    2013.04.24
  • 스승의 날에~~

    ※맨아래 바를 가운데로 맞춰서 보세요. 안녕하세요? 이 나이가 되어 스승의날에 찾아가 뵐수있는 스승님이 계시다는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라도 더 가르켜 주실려 하시고 때론 친구 같기도 하고 가족같이 느껴지는 선생님의 소탈하신 모습에서 우리 회원님들이 모..

    2013.04.24
  • 격조와 위엄의 미학, 궁중행사도(기록화)

    4.격조와 위엄의 미학, 궁중행사도(기록화) 조선시대의 왕실문화는 근래 많은 연구 성과가 쌓이면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왕세자 책봉,왕실 혼례,왕실 어른의 생신,왕의즉위 기념식 등 궁중의 행사를 기념하여 그린 "궁중행사도" 는 조선왕실문화의 격조와 위엄을 그림으로 보여준다. 김..

    2013.04.23
  • 겸재 정선과 금강산 그림

    3.겸재 정선과 금강산 그림 정선은 금강산과 인왕산,서울의 근교, 강원도에서 해인사까지 전국의 명승과 풍경을 여행하고 개성적인 필법(筆法)과 묵법(墨法)의 진경산수(眞景山水)로 완성하였다. 한국의 고유한 지리적 풍토에서 나온 산세의 느낌 ,억센 바위,꾿꾿 한 소나무는 정..

    2013.04.23
  • 화선(畵仙) 김홍도

    2. 화선(畵仙) 김홍도 단원 김홍도는 "그림 신선" 으로 불린다. 외모와 행동거지가 맑고 아름다웠다고 한다. 풍속화로 가장 친숙하지만 신선,실경산수,고사인물(故事人物) 궁중행사도,호랑이나 고양이 등 영모,연꽃과 파도 등 다양한 분야의 그림을 다 잘그린 정조시대 최고의 화원이었다...

    2013.04.23
  • 국보와 보물로 보는 한국미술 이천년

    국보와 보물로 보는 한국미술 이천년 조선시대 회화. 이인숙(-영남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석사 졸업.동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박사 졸업.영남대학교, 대구대학교 강사 강의내용 - 1주차 : (이인숙/미술사, 한국학) / 신윤복과 조선의 풍속 - 2주차: (이인숙/미술사, 한국학) / 화선 김..

    2013.04.23
  • 불국사 건립과 그 배경

    불국사 건립과 그 배경 불국사 @불국사는 법화사상과 정토신앙 등 복합적 종교세계가 결합하여 하나의 종교적 완성체를 이룬 절 . @동시에 토함산의 경사진 지형을 뛰어난 조형기법으로 살린 8세기 조형예술의 결정체. @뒤로는 김대성이 전생의 어머니를 위해 지었다는 석굴암이 있음. 불..

    2013.04.22
  • 전탑(塼 塔)

    전탑(塼塔) (1)흙을 구워 만든 벽돌로 조성한 탑의 양식 중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안동을 비롯한 일부지역에 분포,지금까지 알려진 1,500기의 석탑 가운데 전탑은 21개소의 탑.및 탑지 또는 관련 문헌기록만이 존재. (2)전탑에 관한 최초의 문헌~삼국유사 권4 양지 사석조 석양지는 신라 선덕..

    2013.04.22
  • 통도사 자장암 마애삼존불

    2013.3.10 통도사 자장암 자장암은 통도사 산내암자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곳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곳은 '금와보살'로 불리는 신비한 금개구리 이야기도 있고, 주위 경치 또한 아름답습니다. 자장암은 자장율사가 통도사를 창건하기 전에 수행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

    2013.04.19
  • 석탑(石塔)탑의 양식변화-삼국 .통일신라 시대

    석탑(石塔)탑의 양식변화-삼국 .통일신라 시대 탑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탑에 봉안하여 경배의 대상으로 삼음. @점차불교가 예배 중심이 되면서 탑보다 불상 중시 → 가람의 중심이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옮겨감. 삼국의탑 @ 초기불교는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호국불교로서 사찰도 호..

    2013.03.22
  • 탑(塔)의구조

    탑의 구조는 '상륜부, 탑신부, 기단부'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탑의 층수는 탑신부만을 가지고 세는 것이다. <탑의 구조> 상륜부 맨 꼭대기 지붕돌 위의 금속이나 돌로 만든 장식으로 찰주(擦柱)·보주(寶珠)·용차(龍車)· 수연(水煙)·보개(寶蓋)·보륜(寶輪)·앙화(仰花)·복발..

    2013.03.22
  • 2011.10.31

    2011.10.31 삼국유사속 흔적을 더듬어.... 월요일 .... 박물관팀 출사에 마음은 참석하고 싶었으나 가게문을 여는 날이라 애만 태우고 있는데 가시 님이 오전 촬영만 하고 오자고 전화가왔네요. 반가운소리.... 안개자욱한 도로를 달리면서 오늘 같은날 솔숲에 들어가면 참 좋겠다는 기대감......

    2013.03.06
  • 한국의도자기(2)

    한국의 도자기(2) ◆ 백자 ■ 백토(철분함유량은 0.01~0.02 %) ■ 청화 (회회청,코발트,토청) 안료 (1392~1480 ) :백자의준비기간,투박한 백자 (1480~1592 ) :명대풍이 유행,분음의 성립으로 백자가 크게 발전 (1592~1700 ) :전란으로 도자문화가 일시 후퇴, 철화백자가 많이 제작.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 ..

    2013.03.06
  • 한국의 도자기(2)

    한국의 도자기(2) 소박한 묘미의 분청사기와 달 항아리 강의목표 분청사기와 조선 백자의 다양한 문향과 기법 등의 특수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도자사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자 한다. ■ 기형에 힘이 넘치고 두툼한 질감의 특징. 소박하면서도 비정제의 묘미 민요(民窯)만이 지닐..

    2013.03.06
  • 늠비봉 오층석탑

    늠비봉 오층석탑 부엉골에서 본 모양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남산 포석곡 일대 유적,유물 등을 원래대로 복원정비사업을 하였는데 복원대상 9개의 절터 중 그 하나가 늠비봉 5층석탑(포석곡 제6사지 5층석탑)입니다. 늠비봉 5층 석탑은 늠비봉 암반 주변에 흩어져 있던 수많은 석재..

    2013.02.28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